본문 바로가기

IT 경제

빅테크 규제, 헝다 파산 등...10대 뉴스로 알아보는 2021 중국

반응형
1.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2. 공동부유
3. 빅테크 규제
4. 디디추싱 상장부터 상폐까지
5. 헝다 디폴트
6. 전력대란
7. 산아제한 폐지
8. 베이징거래소 출범
9. 위안화 강세
10. 멍완저우 귀국

◆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중국은 창당 100주년을 기념해 당의 성과를 과시하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장기집권 기반 굳히기에 집중

시 주석은 지난 7월 “중화 대지에 전면적인 샤오캉(小康·물질적 풍요) 사회를 실현했다"고 선언

중국 공산당의 숙원인 '두 개의 100년 목표(2021년 샤오캉 사회 실현, 2049년 사회주의 강국 건설)' 중 첫째 과업이 자신의 임기 중에 달성됐다는 의미

뒤이어 11월 열린 19차 6중전회의에서는 공산당 역사상 세 번째 ‘역사 결의’를 채택

이는 40년 만에 나온 것으로 시 주석의 위상을 마오쩌둥·덩샤오핑과 같은 반열로 끌어올렸다.



◆ 공동부유

공동부유(共同富裕)는 ‘다 같이 잘 먹고 잘 살자’라는 뜻

지난 8월 열린 제10차 중앙재경위원회에서 시 주석은 이 공동부유를 향후 중국 국정 기조로 내걸었는데, 성장보다 분배를 중요시하겠단 얘기

사실 중국은 그간 능력에 따라 부자가 된다는 ‘선부론(先富論)’ 중심의 경제 정책을 펼쳐왔는데 최근 빈부 격차가 심각해지면서 공동부유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분석

시 주석은 공동부유를 강조하면서 “이는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구이며 중국식 현대화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시 주석의 공동부유 제창하에 중국 정부는 여러 부문에 걸친 규제 강화를 시행

이는 올해 각 분야의 기업, 유명인들에게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 빅테크 규제
올해 중국 당국은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와 인터넷 플랫폼 기업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

지난해 반독점 명분을 앞세워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를 옥죈 데 이어 올해는 개인정보보호, 데이터보안법 등을 추가해 빅테크들의 숨통을 더 강하게 조였다.

이에 따라 중국 빅테크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사라졌고 빅테크 홍콩, 뉴욕증시에 상장된 빅테크의 주가는 줄줄이 하락

이런 규제 강화로 중국 빅테크의 젊은 부호들은 일제히 경영 일선에서 발을 빼기도 했다.

3월 황정 핀둬둬 창업자가 회장직을 내려놓은 데 이어 장이밍 바이트댄스 회장, 쑤화 콰이서우 창업자, 류창둥 징둥닷컴 회장 등이 모두 경영에서 손을 뗐다.
 

[사진=로이터]

◆ 디디추싱 상장부터 상폐

디디추싱은 뉴욕 증시에서의 역사를 6개월 만에 마무리

정부의 반대 속에서도 뉴욕 증시 상장을 강행했지만 당국 압박에 이기지 못해 결국 12월 초 자진 상장폐지를 발표

디디추싱은 지난 6월 뉴욕 증시에 상장해 44억 달러를 조달

이는 뉴욕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 중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

그런데 뉴욕 증시 상장 직후부터 중국 당국은 디디추싱의 애플리케이션(앱) 신규 다운로드 금지 조치를 내리고, 조사를 벌이는 등의 압박을 이어갔다.

11월 말에는 디디추싱 최고경영진에게 데이터 유출 우려를 이유로 뉴욕 증시 상장폐지를 검토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디디추싱은 뉴욕 상장을 폐지하는 대신 홍콩으로 이전할 계획

 

 


◆헝다 디폴트
중국을 대표하는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이 디폴트 상태

9월부터 이어지던 파산설이 현실화한 셈

헝다의 파산은 당국의 부동산 규제 강화가 영향

중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개발업체들을 대상으로 부채 한도를 설정

여기에 채권발행을 제한하고, 부채 축소를 강요

이른바 ‘3대 레드라인’ 규제

이는 빚이 우리 돈 360조원에 달했던 헝다에는 엄청난 악재였다.

이에 따라 헝다는 달러화 채권 이자를 유예 기간이 임박했을 때 간신히 지급하길 반복하다 결국 디폴트를 맞았다.

더 큰 문제는 헝다 디폴트를 시작으로 중국 부동산 업계가 줄도산할 수도 있다는 우려

 

 

 


◆전력대란

지난 9월부터 중국은 심각한 전력난 사태에 직면

장쑤, 저장, 광둥, 충칭 등 21개 성(省)에서 전력 부족을 정전 사태가 빚어졌다.

전기공급 중단으로 공장 수천 곳이 생산을 중단

근로자들이 무급휴가를 떠나는 경우가 늘어났다.

신호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교통체증은 물론 가게들이 촛불에 의지해 장사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전력난의 원인은 중국의 탄소 감소 정책 때문이라는 분석

지난해 9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5%이상 감축하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계획 실현을 위해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에너지 총량 강도 통제’ 목표를 제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지방에서 무리한 전력 제한을 추진한 가운데 석탄 수급 문제가 겹치며 전력난

중국이 지난 11월 전력난 해소를 선언하고 석탄 생산량을 다시 최대치로 끌어올리며 전력 대란은 일단 진정

이로 인해 제조업 경기가 악화하는 등 경제 회복 둔화세가 뚜렷해졌다는 평가

 



◆산아제한 폐지

중국은 올해 무려 40여년 만에 산아제한 정책을 사살상 전면 폐지

셋째 아이 출산을 허용한 데 이어 산아제한 정책 위반에 대한 벌금 등 처벌 규정까지 없앴다.

중국은 급격한 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1979년 한 자녀 정책을 도입하고 이를 어길 시 지역에 따라 상당금액의 벌금을 부여해왔다.

이는 2016년 두 자녀 정책 도입 이후에도 이어져 왔는데 올해 이를 완전히 폐지

산아제한 폐지는 중국의 인구 감소 위기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걸 방증

지난 5월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최근 10년간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0.53%로 역대 최저 수준

더 큰 문제는 고령인구는 늘어나는데 신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이는 생산과 소비 주력 연령대의 감소라는 인구구조의 변화가 코앞에 닥쳤다는 의미로 중국 내수 경기 전망을 압박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베이징거래소 출범

중국은 올해 3대 거래소 시대를 열었다.

지난 11월 15일 상하이, 선전 거래소에 이어 베이징증권거래소가 문을 열면서다.

베이징증권거래소는 시 주석이 9월 2일 설립을 선언한 후 개장까지 불과 74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베이징증권거래소는 중소기업 육성과 신설을 명분으로 설립

시 주석은 베이징 증권거래소 설립 계획을 발표하면서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창구를 넒히겠다”고 밝혔다.

러나 일각에서는 중국 기업의 미국을 포함한 외국 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도록 하기 위한 조치란 분석

 

 


◆위안화 강세

중국 위안화는 지난해 하반기 이어 올해도 초강세 행보를 이어갔다.

연초 6.5위안대였던 달러·위안 환율은 12월 들어 6.3위안대로 떨어졌다.

환율이 내렸다는 건 그만큼 위안화 가치가 상승했다는 뜻

특히 지난 8일에는 달러당 위안화가 6.34위안을 기록하며, 2018년 이후 3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위안화 강세 원인은 중국 수출의 호황 때문

코로나19 사태 속 빠른 경제회복을 거둔 중국의 수출이 상대적으로 잘나갔다는 분석

외국인 직접투자도 늘어났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1~11월 외국인직접투자(FDI)는 1조422억 위안(1572억 달러)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5.9% 늘었다.

 


◆멍완저우 귀국

지난 9월 25일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孟晚舟) 부회장이 귀환

미국의 이란 제재법을 위반한 혐의로 미국 검찰에 기소돼 캐나다에서 1028일간 가택연금 상태로 신병 인도 재판을 받다가 풀려난 것

멍 부회장이 귀국한 날 선전 공항은 들썩였다. 중국 인터넷 CCTV 뉴스에서 멍 부회장의 귀국 장면이 담긴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4억3000만회에 달할 정도

중국 외교부는 그의 귀국을 ‘중국 외교의 승리’라고 자평했다.

반응형